JLPT 필수 구별 표현 (みたいだ, らしい)

일본어에는 ‘~같다’, ‘~처럼 보인다’, ‘~인 것 같다’는 표현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みたいだ”와 “らしい”는 자주 사용되면서도 가장 헷갈리기 쉬운 표현입니다.

"Like" on blackboard

두 표현 모두 추측이나 간접적인 인상을 전달할 때 사용되지만, 근거, 사용 상황, 문체, 뉘앙스가 서로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JLPT 시험 및 실전 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 두 표현의 차이를 문법 설명, 예문과 번역, 비교표, 사용 팁을 통해 아주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みたいだ – 주관적 인상과 느낌 표현

“みたいだ”는 화자가 직접 보고 듣거나 느낀 인상에 근거한 주관적인 추측을 나타냅니다.
표현 자체가 비교적 부드럽고 캐주얼한 뉘앙스를 지니며, 일상 회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문법 형태

  • 명사 + みたいだ (例: 先生みたいだ)
  • 동사 기본형 + みたいだ (例: 来るみたいだ)
  • 이형용사 + みたいだ (例: 寒いみたいだ)
  • 나형용사 + な + みたいだ (例: 静かなみたいだ)

예문과 번역

  • 外は雨が降っているみたいだ
    → 밖은 비가 오는 것 같아.
  • 彼は疲れているみたいだ
    → 그는 피곤해 보인다.
  • このケーキはチョコレートみたいだね。
    → 이 케이크는 초콜릿 같은데?

사용 팁

  • 직접 보고 느낀 인상을 전달할 때 사용
  • 확신은 없지만 그런 느낌을 받을 때 유용
  • 구어체에서 자연스럽고 자주 쓰임

2. らしい – 객관적 정보 또는 전형적인 이미지

“らしい”는 듣거나 들은 이야기, 객관적 정보, 사회적 일반 인식에 바탕을 둔 간접적인 추측을 나타냅니다.
또한, 어떤 대상의 전형적인 특성을 설명할 때도 사용됩니다.

문법 형태

  • 명사 + らしい (例: 学生らしい)
  • 동사 기본형 + らしい (例: 雨が降るらしい)
  • 이형용사 + らしい (例: 寒いらしい)

예문과 번역

  • 明日は雨が降るらしい
    내일은 비가 온다고 해.
  • あの人は医者らしいよ。
    그 사람은 의사래.
  • 子供らしい遊びをしている。
    아이답게 놀고 있어.

사용 팁

  • 누군가에게 들은 정보 기반 추측에 사용
  • 뉴스, 보고, 간접적 사실에 적절
  • 전형적인 이미지 설명에도 활용 (예: 男らしい)

3. 실전 비교 예문

상황 1: 길에서 교복 입은 사람을 보고

  • 学生みたいだね。
    → 학생처럼 보인다. (눈에 보이는 인상)
  • 学生らしいよ。
    → 학생이라고 하더라. (들은 정보)

상황 2: 음식 맛보고 말할 때

  • このスープはカレーみたいだ
    → 이 수프는 카레 같은데? (직접 맛보고 판단)
  • このスープはカレーらしい
    → 이 수프, 카레래. (들은 정보)

상황 3: 성격 묘사

  • 子供みたいだ
    애처럼 구네. (어른이지만 유치함)
  • 子供らしい
    아이답네. (전형적인 아이의 특성)

4. 비교 요약표

항목 みたいだ らしい
근거 주관적 인상, 감각 객관적 정보, 소문
확실성 낮음 (확신 없음) 높음 (정보 기반)
문체 회화적, 부드러움 중립적, 공식적도 가능
사용 맥락 일상 대화, 감정 표현 뉴스, 보고, 간접 인용
예시 彼は学生みたいだ 彼は学生らしい

5. JLPT 시험 포인트

문제 예시:
ニュースで見たけど、明日は雪が(   )。

  1. みたいだ
  2. らしい
  3. ようだ
  4. そうだ

정답: 2) らしい
→ 뉴스에서 본 정보는 객관적 간접 정보이므로 “らしい”가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6. 혼동 방지를 위한 핵심 정리

  • 내가 보고 느낀 것 → みたいだ
  • 남에게 들은 것, 소문 → らしい
  • 캐주얼한 느낌 → みたいだ
  • 중립적이고 공식적인 느낌 → らしい
  • 아이답다 / 남자답다 등 전형성 표현 → らしい

7. 결론 및 요약:

“みたいだ”와 “らしい”는 같은 ‘같다’류 표현이지만 사용 조건이 전혀 다릅니다.
- みたいだ주관적인 인상과 감각을 기반으로 하고, 내가 보고 느낀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らしい객관적인 정보나 들은 말, 혹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나타냅니다.

두 표현 모두 JLPT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형이므로 반드시 구별 연습을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예문으로 반복해서 복습해보며, 실제 회화에서도 활용해 보세요!